본문 바로가기

Idean's idea

피로사회 2. 우울증은 면역학적 도식 바깥에, 성과주체가 더 이상 할 수 없을 때 발발, 일과 능력의 피로, 아무것도 가능하지 않다는 한탄, 아무것도 불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사회에서만 가능, ..

https://faqinlife.tistory.com/336

 

프로젝트, 금요일에 낯선 사람과 대화해보기...

금요일에 낯선사람과 대화해보기...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Easy English is O.K! 본 프로젝트는 첨단의 정보통신과 초연결시대에 깊어가는 관계의 단절과 사람의 소외에 대한 시대 속 '틈'을 만들어

faqinlife.tistory.com

1.2. 규율사회의 피안에서

 

: 병원, 정신병자수용소, 감옥, 병영, 공장 등, 푸코의 규율사회는 사라져,

이제는 피트니스, 오피스빌딩, 은행, 공항, 실험실 등,

21세기 사회는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 복종적주체에서 성과주체로, 자신을 경영하는 기업가,

정상과 비정상 구분의 규율기관들의 장벽은 유물로,

 

규율사회는 부정성의 사회, 금지의 부정성으로 규정, 된다.안단, 해야한다,

성과사회는 탈규제의 경향, 부정성 폐기, 무한한 할 수 있음,이 성과사회의 조동사, 금지.명령.법률은 프로젝트.이니셔티브.모티베이션으로, 규율사회의 부정성은 광인.범죄자, 성과사회는 우울증과 낙오자

 

사회적 무의식 속 생산 최대화의 열망 공유, 하지만 생산성 일정 지점에서는 규율.금지.부정적 도식의 한계,

이를 돌파 위해 성과의 패러다임, 긍정의 도식 대체, 능력의 긍정성은 당위의 부정성보다 효율적,

사회적 무의식은 당위에서 능력으로 전환, 복종적 주체보다 성과 주체로, 규율에 단련된 상태 유지.졸업, 규율의 기술.당위의 명령의 생산성 상승시켜, 당위와 능력의 연속적 관계

 

알랭에랭베르, 우울증,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 이행기의 현상, ‘권위적강제.금지, 사회계급.성별 따른 역할 부여의 규율적 행위 조종의 모델이 만인에 자기 주도적.자신이 될 것 요구하는 새로운 규범으로 대체되면서 나타나,

컨디션 정상 아니야, 자신이 되라는 요구에 부응 하려 애쓰다 지쳐’,

하지만 알랭에렝베르의 문제점은 우울증을 자아의 경제란 관점에서만 관찰, 자신이 되지 못한 후기 근대적 인간의 좌절에 대한 병리학적 표현,

 

하지만 우울증 초래 요인 중 사회의 원자화와 파편화로 인간 유대의 결핍도, 이 부분이 논의에 빠져,

성과사회 내재의 시스템의 폭력 간과, 심리적 경색 야기 인식 못해, 자신이 되야 한다는 명령 아닌 성과 향한 압박이 탈진 우울 초래,

하여 소진증후군은 탈진자아보다 타서 꺼져버린 탈진 영혼의 표현, 에랭베르, 우울증은 규율사회 명령.금지가 자기책임.자기주도로 대체될  때 확산,

하지만 인간 병들게 하는 것은 후기 근대적 노동사회의 계율이 된 성과주의의 명령, 과도한 책임.주도권 아니야

 

알랭에렝배르의 오류, 오늘의 인간형을 니체의 주권적인간과 동일시, ‘자신을 닮은 주권적인간은 대중의 현실이 되려는 중, 주권적인간에 어떤 사람 되어야 하는지 명할 수 있는 상위 존재 없어, 오직 자신에게만 소속’,

정작 니체라면 그저 노동만 하는 최후의 인간,이라고 했을 것, 긍정성의 과잉상태, 대책 없이 무력하게 던져진 인간형, 어떤 주권도 없이, 노동하는 동물로 자신 착취, 자발적으로 가해자며 피해자,

 

강조적 의미의 자아, 면역학적 범주, 우울증은 면역학적 도식 바깥에, 성과주체가 더 이상 할 수 없을 때 발발, 일과능력의 피로, 아무것도 가능하지 않다는 한탄, 아무것도 불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사회에서만 가능, 파괴적 자책.자학, 성과주체는 자신과 전쟁상태, 이 내면화된 전쟁에서의 부상군인이 우울증환자, 우울증은 긍정성의 과잉 사회의 질병, 자신과 전쟁 중인 인간 반영

 

성과주체는 외적 지배기구에서 자유, 그러나 자유롭지 않아,

지배기구의 소멸은 자유와 강제가 일치하는 상태, 하여 성과 극대화 위해 강제하는 자유, 자유로운 강제에 몸 맡겨,

과다한 노동과 성과는 자기 착취로, 자유롭다는 느낌 동반, 더 효율적, 자체 내 존재의 강제구조로 폭력으로 돌변하는 자유 만들어, 역설적자유, 이것의 병리적 표출